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

정책연구 상세 내용
연구보고서 [KOFIC 연구 2020-06] 한국영화 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작성자
정책연구팀 박주영 (051-720-4753)
작성일자
2020.07.01
조회수
2,342
첨부파일
[KOFIC연구 2020-06]한국영화 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pdf
보고서 번호, 저자, 발간일, 페이지 수 , ISBN이 담긴 표
[KOFIC 연구 2020-06] 한국영화 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보고서번호 KOFIC 연구 2020-06
저자 조혜영
발간일 20200618
페이지수 297
ISBN ISBN 978-89-8021-170-8
목차 요약문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 범위와 방법

제2장 한국영화 제작인력 성비 분석
1. 13개 직군 헤드 스태프
1) 제작자, 프로듀서
2) 감독
3) 주연
4) 각본
5) 촬영, 조명, 사운드
6) 편집
7) 음악, 미술
8) 의상, 분장
2. 경력 단계에 따른 성비 변화 분석
3. 소결

제3장 한국영화 캐릭터 성인지 분석
1. 분석대상
2. 캐릭터 성인지 테스트 및 조사항목
1) 벡델 테스트
2) 스테레오타입 테스트
3) 다양성 테스트
3. 연도별 분석
1) 2009년: 다양하지만 적대적인
2) 2010년: 흥행과 벡델 테스트
3) 2011년: <써니>의 해
4) 2012년: 천만 관객의 시대는 80:20이다
5) 2013년: 성별 불균형의 해
6) 2014년: <명량>에서 <도희야>까지
7) 2015년: 낮아지는 벡델 테스트 비율
8) 2016년: 가장 높은 비율의 여성 감독과 여성 주연
9) 2017년: 전체 관람가를 위한 영화는 없다
10) 2018년: <리틀 포레스트>와 <미쓰백>
4. 개봉영화 중 여성 감독 영화 캐릭터 분석
5. 소결
1) 벡델 테스트
2) 스테레오타입 테스트
3) 다양성 테스트

제4장 한국영화의 성불평등 원인과 영향
1. 질문들
2. 여성 영화인력이 부딪히는 장벽들
1) 기회의 제한: 유리천장과 유리벽
2) 남성중심적 산업과 문화: 성별 고정관념과 편견의 악순환
3) 임금격차와 노동조건
4) 경력단절과 가족 내 돌봄 노동
3. ‘미투 운동(#metoo)’과 그 이후
4. 소결

제5장 해외 성평등 영화정책과 프로그램
1. 미국
1) 텔레비전 및 영화산업 여성 연구센터
2) 지나 데이비스 연구소
3) USC 아넨버그 포용 이니셔티브
4) 타임스업 엔터테인먼트
5) 선댄스 인스티튜트
2. 스웨덴
3. 오스트레일리아
4. 영국
5. 소결

제6장 한국영화 성평등 실현을 위한 공공정책 방향
1. ‘5050 by 2022’ 계획
1) 지원사업
2) 별도사업
3) 교육
4) 정책연구
5) 관객개발
6) 캠페인
2. 소결: 여성에게 좋은 것은 모두에게 좋다

참고문헌
부록
내용 이 연구는 '한국영화는 누가 만들고 누구의 이야기를 재현하고 있는가? 성인지적 관점에서 남성중심의 이야기가 한국영화를 독과점하는 현상 및 한국영화의 카메라 앞과 뒤 모두 성별 불균형이 극심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따라서 연구 방향은 한국영화의 인력과 서사 재현 모두에서 장기간 지속되어온 성불균형과 불평등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구조적 원인을 분석해 공공기관에서 실천할 수 있는 성평등 영화정책을 제안하는데 목적으로 두고 있다.
?boardNumber=39&policyNo=4346

영화진흥위원회이(가) 창작한 [KOFIC 연구 2020-06] 한국영화 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